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전체 글90

[MySQL] COUNT(*) vs EXISTS 성능 개선 차이 먼저, 데이터 존재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COUNT(*) 혹은 COUNT(1)이 사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둘은 같은 의미이고, 개발자마다의 스타일 차이이다. COUNT(*)로 존재 여부를 체크하거나 COUNT(1)로 쿼리를 짜서체크하는 코드를 볼 수 있지만, 가독성을 위해 COUNT(*)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. COUNT(!)의 의미를 몰라 검색해 보거나, 설명해야 하는 불필요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니 가급적 공용화된 COUNT(*)로 데이터 존재 여부를 체크하길 바란다. 자, 이제 그러면존재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COUNT(*)를 쓸 것 인가, EXISTS를 쓸 것인가 차이가 궁금할 것이다.결론은,  대용량 데이터가 있을 때 훨씬 EXISTS의 속도가 더 빠르다.COUNT는 모든 행을 검사하고.. 2025. 3. 8.
[컴퓨터구조] 컴퓨터 본체로 알아보는 컴퓨터 구조와 부팅 과정 본체 구성 요소메인보드(마더보드)마더보드(matherboard)라고도 불리며 주회로가 내장된 보드CPU나 램과 같은 시스템이 작동되기 위한 주요 부품 장착과 주변 장치를 연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쇄회로기판(PCB)을 의미컴퓨터 전원 공급 장치로부터 전기를 받아 CPU, 칩셋, 메인 메모리, 확장 카드에 이를 내보내는 전원 커넥터 및 회로를 포함여기위에 CPU, RAM등이 연결되어 작동한다.중앙 처리 장치(CPU, 휘발성)명령어의 해석과 자료의 연산, 비교 등의 처리를 제어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핵심 장치다양한 입력 장치로부터 명령을 받아 처리한 후, 그 결과를 출력 장치로 보내는 일련의 과정을 제어하고 조정하는 일을 수행제어장치, 연산장치, 레지스터 세 부분으로 구성됨사람의 뇌와 같은 역할을.. 2025. 1. 21.
[데이터베이스] 오라클 접속 오류(오류 : 업체 코드 17002, 12505, 28002) 오라클에서 접속을 눌렀더니 아래와 같은 17002 코드의 오류가 떴다.요청한 작업을 수행하는 중 오류 발생: IO 오류: The Network Adapter could not establish the connection (CONNECTION_ID=4wAGPJXESP6SGbU/Snd0Kw==) 업체 코드 17002나중에 또 발생할 수 있으니 해결방법을 정리한다. 오라클 17002 오류 해결 1. 컴퓨터관리 -> 서비스 -> OracleXETNSListener 우클릭 속성 -> 시작컴퓨터 관리로 들어가서 서비스에서 OracleXETNSListener 속성에 들어가보면 중지됨 이라고 표시되어 있을 것이다.그것을 시작누르고 확인 누른다. 이렇게 했더니 이번엔 12505 오류가 뜬다.  오라클 12505 오류 해.. 2025. 1. 19.
[spring] STS 프로젝트 Context root 변경하기(/controller -> /) STS 톰캣을 실행하면 가끔 Context Path가 /controller로 자동설정 되어있는 경우가 있다.그래서 /controller가 아닌 /로 접속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설정을 변경해 주어야 한다. 1. 프로젝트 우클릭-> properties 2. Validation -> Web Project Settings -> Context root 변경하기들어가보면 Context root가 /controller로 되어 있을 것이다. 이것을 / 로 변경해줘야/로 접속했을 때 개발했던 페이지가 나온다. 3. 톰캣 우클릭-> Clean과  Project->Clean.. (이 부분은 생략 가능)혹시나 적용이 안 되었을 수 있기 때문에 Project Clean과  톰캣 clean을 하고 톰캣을 실행한다. 2025. 1. 18.
[spring] STS 프로젝트 빨간엑스 뜰 때(pom.xml 첫째줄 에러) STS로 Spring 프로젝트를 하다 보면 갑자기 프로젝트에 빨간 엑스가 뜨는 경우가 있다.아래 순서대로 해보면 해결 된다.1) Clean projectProject > Clean...  을 눌러주면 된다. 이 기능은 파일을 지우는 기능은 아니고, 이클립스가 사용하고 캐시를 삭제하는 것이다.이것만 해서는 프로젝트 빨간 엑스를 지울 순 없다. 아래 과정을 더 해야 한다. 2) STS 끄고 사용자/.m2 안에 있는 repository 파일 삭제저 .m2 파일 경로로 들어가 repository 폴더를 삭제한다.이것은 pom.xml의 dependensy 과정에서 오류가 났던 부분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다운받았던 내용들을 다시 삭제하고 아래 3번째 과정으로 다시 다운받는다. 3) pom.xml 파일에 plugin.. 2025. 1. 18.
[springboot] AJAX 사용 방법과 동기(Synchronous), 비동기(Asynchronous) 차이 AJAX란?AJAX(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)는 웹 페이지에서 전체를 새로고침하지 않고도 서버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술입니다. 이를 통해 사용자 경험이 개선되고 웹 애플리케이션이 더욱 동적으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."Asynchronous": 비동기적으로 동작하여, 요청과 응답이 이루어지는 동안 다른 작업을 계속 수행할 수 있습니다."JavaScript": 클라이언트 측에서 동작하며, 주로 XMLHttpRequest 객체나 Fetch API를 사용해 서버와 통신합니다."XML": 초기에는 XML 형식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았지만, 현재는 JSON이 주로 사용됩니다.AJAX의 주요 특징비동기 통신: 전체 페이지를 다시 로드하지 않고도 데이터를 갱신할 수 있음.사용자 경험.. 2025. 1. 14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