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이클립스3

[java] 이클립스 단축키 모음 Ctrl + D : 한줄삭제Ctrl + Alt + ↑, ↓ : 한줄 위 또는 아래로 복붙 Alt + ↑, ↓ : 행 이동Ctrl + I : 자동 줄 맞춤Ctrl + / : 한줄 주석 처리Ctrl + F11 : 실행(Run)Ctrl + Shift + O : 자동 import(필요한 패키지 추가)F11 : 디버깅Ctrl + Shift + B: 토글 브레이크포인트 2025. 5. 2.
[spring] STS 프로젝트 Context root 변경하기(/controller -> /) STS 톰캣을 실행하면 가끔 Context Path가 /controller로 자동설정 되어있는 경우가 있다.그래서 /controller가 아닌 /로 접속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설정을 변경해 주어야 한다. 1. 프로젝트 우클릭-> properties 2. Validation -> Web Project Settings -> Context root 변경하기들어가보면 Context root가 /controller로 되어 있을 것이다. 이것을 / 로 변경해줘야/로 접속했을 때 개발했던 페이지가 나온다. 3. 톰캣 우클릭-> Clean과  Project->Clean.. (이 부분은 생략 가능)혹시나 적용이 안 되었을 수 있기 때문에 Project Clean과  톰캣 clean을 하고 톰캣을 실행한다. 2025. 1. 18.
[spring] STS 프로젝트 빨간엑스 뜰 때(pom.xml 첫째줄 에러) STS로 Spring 프로젝트를 하다 보면 갑자기 프로젝트에 빨간 엑스가 뜨는 경우가 있다.아래 순서대로 해보면 해결 된다.1) Clean projectProject > Clean...  을 눌러주면 된다. 이 기능은 파일을 지우는 기능은 아니고, 이클립스가 사용하고 캐시를 삭제하는 것이다.이것만 해서는 프로젝트 빨간 엑스를 지울 순 없다. 아래 과정을 더 해야 한다. 2) STS 끄고 사용자/.m2 안에 있는 repository 파일 삭제저 .m2 파일 경로로 들어가 repository 폴더를 삭제한다.이것은 pom.xml의 dependensy 과정에서 오류가 났던 부분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다운받았던 내용들을 다시 삭제하고 아래 3번째 과정으로 다시 다운받는다. 3) pom.xml 파일에 plugin.. 2025. 1. 18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