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SpringBoot31

[springboot] 로그(Log) @Slf4j 로그 (Log) 로그(Log)란 시스템이 동작할 때 시스템의 상태 및 동작 정보를 시간 경과에 따라 기록하는 것 로그 레벨 (Log Level)로그는 로그 레벨에 따라 출력될지 넘어갈지 결정한다. 로그 레벨에 따른 심각도 수준은 아래와 같다.Trace > Debug > Info > Warn > Error > Fatal로그 레벨설명예시TRACE가장 상세한 정보(메서드 호출 단위)메서드 진입/반환 시점 등DEBUG디버깅용 상세 정보변수 값, 로직 흐름 추적INFO일반적인 정보서비스 시작, 요청 처리 완료WARN경고 상황(에러는 아니지만 주의 필요)성능 저하, 예상치 못한 입력ERROR오류 발생예외, 시스템 장애 💡 API를 개발할 때는 로그 레벨을 DEBUG로 설정, 배포시에는 INFO나 Warn 레벨로.. 2025. 11. 9.
[springboot] 스프링 스케줄러 스프링 스케줄러란?스프링 스케줄러(Scheduler)는 특정 작업을 주기적으로 또는 예약된 시간에 자동으로 실행하게 해주는 기능이다.예: 매일 자정에 DB 백업, 1시간마다 통계 업데이트, 1분마다 상태 갱신 등@Scheduled 어노테이션과 @EnableScheduling이 함께 사용된다.즉, 백그라운드에서 자동으로 특정 메서드를 실행하도록 도와주는 기능 ✅ 스프링스케줄러 사용법1. 메인 Application에 @EnableScheduling 어노테이션 붙이기스프링 부트 애플리케이션에서 스케줄러 기능을 활성화하는 어노테이션안 붙이면 @Scheduled가 붙은 메서드는 전혀 실행되지 않음보통 메인 클래스나 설정 클래스에 붙인다.@SpringBootApplication@EnableScheduling //.. 2025. 11. 8.
[springboot] AOP(Aspect Oriented programing,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) AOP(Aspect Oriented programing,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) 이란?공통 관심사(Cross-Cutting Concern) 를 모듈화하여 코드의 중복을 줄이고, 핵심 비즈니스 로직과 분리하는 기술로그 출력트랜잭션 관리성능 측정 (메서드 실행 시간)예외 처리권한 검사이런 것들을 각 메서드마다 작성하면 중복 코드가 생기기 때문에,AOP를 사용하면 공통 로직을 한 곳에 모아두고 자동으로 적용할 수 있다. AOP 핵심 개념개념설명Aspect (관점)공통 관심사를 모듈화한 것 (예: 로깅, 트랜잭션 등)Join Point (조인 포인트)AOP가 적용될 수 있는 지점 (메서드 호출 등)Advice (어드바이스)실제로 실행될 공통 로직 (Aspect 안의 메서드)Pointcut (포인트컷)어떤 Joi.. 2025. 11. 8.
[springboot] HTML form 전송 vs JavaScript로 JSON 전송 🧩 1. HTML 전송 방식🔹 개요브라우저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폼 전송 기능 사용 태그의 action과 method 속성을 이용해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전송 형식은 기본적으로 application/x-www-form-urlencoded 또는 multipart/form-data (파일 업로드 시)🔹 예시 코드 아이디: 비밀번호: 회원가입 🔹 서버 (Spring Boot Controller)@ReauireArgsConstructor@Controllerpublic class UserController { private final UserService userservice; @PostMapping("/user") public String signup(AddUserReq.. 2025. 11. 2.
[spring] STS 프로젝트 Context root 변경하기(/controller -> /) STS 톰캣을 실행하면 가끔 Context Path가 /controller로 자동설정 되어있는 경우가 있다.그래서 /controller가 아닌 /로 접속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설정을 변경해 주어야 한다. 1. 프로젝트 우클릭-> properties 2. Validation -> Web Project Settings -> Context root 변경하기들어가보면 Context root가 /controller로 되어 있을 것이다. 이것을 / 로 변경해줘야/로 접속했을 때 개발했던 페이지가 나온다. 3. 톰캣 우클릭-> Clean과  Project->Clean.. (이 부분은 생략 가능)혹시나 적용이 안 되었을 수 있기 때문에 Project Clean과  톰캣 clean을 하고 톰캣을 실행한다. 2025. 1. 18.
[spring] STS 프로젝트 빨간엑스 뜰 때(pom.xml 첫째줄 에러) STS로 Spring 프로젝트를 하다 보면 갑자기 프로젝트에 빨간 엑스가 뜨는 경우가 있다.아래 순서대로 해보면 해결 된다.1) Clean projectProject > Clean...  을 눌러주면 된다. 이 기능은 파일을 지우는 기능은 아니고, 이클립스가 사용하고 캐시를 삭제하는 것이다.이것만 해서는 프로젝트 빨간 엑스를 지울 순 없다. 아래 과정을 더 해야 한다. 2) STS 끄고 사용자/.m2 안에 있는 repository 파일 삭제저 .m2 파일 경로로 들어가 repository 폴더를 삭제한다.이것은 pom.xml의 dependensy 과정에서 오류가 났던 부분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다운받았던 내용들을 다시 삭제하고 아래 3번째 과정으로 다시 다운받는다. 3) pom.xml 파일에 plugin.. 2025. 1. 18.
반응형